[해양수산부]2024년, 국내 항만 역대 최대 컨테이너 물동량 3,173만TEU 처리
2024년, 국내 항만 역대 최대 컨테이너 물동량 3,173만TEU 처리
- 홍해사태·부산항 기능 재배치 등 대·내외 물류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수출입·환적 물류서비스 제공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2024년 전국 무역항에서 사상 최대 컨테이너(이하 '컨') 물동량인 3,173만TEU를 처리하였다고 밝혔다. 2024년에는 홍해사태 등 지정학적 공급망 불안정과 함께 부산항의 대형 '컨' 터미널 2개社의 재배치*까지 진행되어 대·내외 여건 변화가 큰 상황임에도 전년(3,015만TEU) 대비 5.3%(158만TEU) 증가한 사상 최대 물동량을 처리하였다.
* 동원(부산항 북항 신감만→ 신항 7부두, 2024년 4월), 허치슨(부산항 북항 자성대 → 북항 감만일부·신감만, 2024년 12월) 부두가 전국 '컨' 물동량의 10% 처리(2023년 기준)
수출입 물동량은 1,768만TEU로 전년 대비 44만TEU가 증가(2.6%)하였으며, 환적 물동량은 1,389만TEU로 전년 대비 115만TEU가 증가(9%)하여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부산항은 역대 최고 물동량인 2,440만TEU를 처리(전년比 5.4%증가)하였으며 특히, 환적 물동량은 전년 대비 109만TEU 증가한 1,350만TEU을 기록하여 국내 항만 물동량 증대를 견인하였다.
인천항은 전년 대비 9만TEU 증가한 356만TEU(전년比 2.7% 증가)로 사상 최대 물동량 실적을 갱신하였으며, 광양항은 201만TEU(전년比 7.8% 증가)를 처리하여 3년 만에 2백만TEU 선을 회복하였다.
* ① 부산항(만TEU) : (2024) 2,440(수출입 1,090, 환적 1,350) / (2023) 2,315(수출입 1,074, 환적 1,241)② 인천항(만TEU) : (2024) 356(수출입 351, 환적 5) / (2023) 346(수출입 341, 환적 5)③ 광양항(만TEU) : (2024) 201(수출입 170, 환적 31) / (2023) 186(수출입 161, 환적 25)
작년 우리 항만이 이러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 소비시장 회복에 따른 대미교역 활성화, 중국발 환적물량 증가 등 주요 교역국과의 물동량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부산항은 작년 4월 국내 최초 완전 자동화 항만 개장으로 화물 처리능력을 높인 점이 최고 물동량 달성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2024년에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대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었던 것은 항만 당국과 터미널 운영사 간 긴밀한 협력 덕분이었다."라며, "2025년에는 보호무역주의의 심화와 같은 대외 여건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부산항 진해신항 착공을 비롯하여 지난해 수립한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참고) 보도자료에 수록된 수치는 원시데이터를 만 단위(TEU)로 조정한 수치이고 증감률은 원시데이터 간 비교하여 적용한 수치입니다. 다만, 통계 재생성(분기, 반기 등) 시 일부 수치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