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재생에너지 수용력을 높이는 미래형 배전망 기술개발 착수

btn_textview.gif

재생에너지 수용력을 높이는 미래형 배전망 기술개발 착수

-차세대 AC/DC Hybrid 배전 네트워크 기술개발 사업운영위원회 개최 -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장관 : 이창양) 1212()차세대 AC/DC Hybrid 배전 네트워크 기술개발 사업 1차 운영위원회를 개최하여 미래형 배전망 기술개발 사업에 본격 착수하였다.

 

 

< 차세대 AC/DC Hybrid 배전 네트워크 기술개발사업 운영위원회 개요 >

 

 

 

일시/장소 : ‘22.12.12() 13:00~15:00/서울 코엑스 컨퍼런스홀 305

참석자 : 20

- (정부·공공기관) 산업부 전력계통혁신과장, 한전 배전계획처장, 에기평 전력계통 PD, 한전MCS 본부장 등

- (민간전문가) 서울대학교 김국헌 교수, 고려대학교 장길수 교수, 전력전자학회 이택기 회장 등

주요내용 : 전체 세부사업 방향 논의 및 중·장기 정책을 반영한 기술개발 의사결정


 

동 사업은 기존 교류(AC) 중심의 우리나라 배전 전력망에 중간전압의 직류(MVDC*) 선로를 병행하여 연계하는 교류와 직류 혼용 배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개발 사업으로서,

 

* MVDC(Medium Voltage Direct Current): 장거리 송전계통에 적용되는 HVDC(100kV 이상)와 저압배선에 연계되는 LVDC(1.5kV이하) 사이의 전송용량을 갖는 직류 시스템

 

핵심부품·기기 및 운영기술 개발, 테스트베드 구축에 7년간 1,905억 원을 지원을 통해 2030년까지 AC/DC 혼용배전망 구축 완료를 목표로 한다.

 

배전환경에서 필요한 HW 핵심부품 및 기기 개발(‘22~’26, 656억원), *LS·현대일렉트릭 등 주관

AC망 위에 DC 요소기기와 연계하는 SW 운영기술 개발(’22~’26, 704억원) *한전·전기연구원 등 주관

개발된 기기·기술의 성능시험을 위한 실증형 플랜트 구축(’24~’28, 545억원) *24년 주관기관 선정

ㅇ 올해 8월 선정평가를 거쳐 10월에 우선적으로 7개 과제*대해 협약 체결을 통한 사업 시행주체를 확정하였고, 이번 운영위원회 개최를 통해 본격 착수를 알리게 되었다.

 

* 내역사업별 총 10개 세부 과제 중 7개에 대해 우선적 선정(‘233개 선정 예정)

 

AC/DC 혼용 배전망은 기존 전력계통을 활용하여 교류 배전망과 함께 직류 배전망을 추가 연계하는 신개념 전력망으로,

 

재생에너지 연계 계통 용량 확대와 함께, 변환손실(ACDC) 저감을 통한 운영 효율성 향상, 기존 배전망을 활용하므로 전력망 신규건설 시 우려되는 사회적 수용성 문제 해결, 투자비용 절감 등효과가 기대된다.

 

* AC/DC 혼용 배전망 구축의 기대효과

: 재생e 연계 용량 60% 증대, 선로 최대 허용 부하율 30% 향상, 전력변환 손실 10% 저감

 

또한 민관이 협력하여 세계적으로 초기 시장 단계MVDC 배전산업 기술력을 조기에 확보한다면 전력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 전력계통은 직류, 분산형 전원인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기존 전력망 계획, 운영방식에 변화가 필요한 상황 이라고 언급하면서, “미래형 배전망 기술개발이 돌파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

 

산업부 및 에기평은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콘트롤타워인 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속도감 있는 기술개발 및 신뢰성 제고, 기술-정책 간 유기적 연계 등을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