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022년 11월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btn_textview.gif

202211월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 4개월 연속 생산, 내수, 수출 모두 증가 -

- 수출액(54억 달러), 전기수소차 수출액(8억 달러) 모두 최고치 경신 -

- 부품기업의 애로해소와 미래 경쟁력 확보 지원 강화 -


 

총괄


 

2211월 자동차산업은 생산 25.4%, 내수 8.4%, 수출 25% (수출액 31%) 모두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생산내수수출 모두 공급망 불안은 지속되고 있지만 전년보다 개선된 반도체 수급 상황으로 올해 8월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

 

* 생산대수(만대) : (8) 28.5(9) 30.8(10) 32.8(11) 38.0
내수판매대수(만대) : (8) 13.2(9) 14.0(10) 14.4(11) 15.6
수출량(만대)/금액(억 달러) : (8) 16.7/41.2(9) 19.5/47.9(10) 20.8/49.2(11) 21.9/54.0

 

특히, 올해 1~11월 누적 수출 실적은 주요국의 금리 인상,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등 하방 요인에도 불구하고 물량금액 모두 전년도 연간 실적뛰어넘음

 

* 수출 실적(‘21’22.1~11) : (물량) 204만대208만대, (금액) 465억 달러487억 달러

 

‘2211월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 백만 달러, %)

구 분

’22.11

전월비(%)

전년동월비(%)

’22.1-11

전년동기비(%)

생 산

379,797

15.7

25.4

3,403,660

8.3

내 수

155,942

8.0

8.4

1,523,083

3.1

 

국산차

126,730

6.9

2.8

1,253,612

3.5

수입차

29,212

13.3

41.9

269,471

1.2

수 출

219,489

5.7

25.0

2,084,582

12.3

 

수출금액

5,398

9.8

31.0

48,703

15.3

부품수출금액

1,857

0.9

0.8

21,344

3.3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22.11자동차 부품 수출반도체 수급 상황 개선에 따른 완성차 업계의 생산 확대로 전년동월 대비 0.8% 증가18.6억 달러 기록

 

* ‘22.11월 자동차부품 지역별 잠정 수출(백만달러, 전년동월): 북미(600, +10.3%), EU(333, +2.2%), 기타유럽(79, 56.8%), 중동(62, 4.1%), 중남미(251, +40.8%), 아프리카(4, 26.1%), 오세아니아(9, +15.3%), 아시아(520, 2.6%)

 

수출 외에 그간 금리 인상, 원자재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부품업계 영향 점검을 위해 상장 부품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 등을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부정적 영향이 일부 가시화 조짐

 

* 상장 부품기업 83개사(4, 中堅 68, 中小 11)의 공시자료 기준

 

(매출액) 22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6.2% 증가

 

-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대기업은 12.9%,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각각 17.2%, 17.9%로 증가하여 외형적 지표는 개선

 

자동차 부품기업 매출액

(단위 : 억원, %)

구 분

‘22

전년동기비 증감(%)

1Q

2Q

3Q

누적(1~3분기)

누적(1~3분기)

대기업

39,465

40,573

44,916

124,954

12.9

중견기업

133,720

145,874

153,498

433,092

17.2

중소기업

2,272

2,518

2,750

7,540

17.9

175,457

188,965

201,164

565,586

16.2


 

(영업이익) 22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2.9%로 전년동기대비 0.2%p 감소

 

- 전년동기대비 3분기 누적 영업이익액은 대기업은 4.5%, 중견기업은 12.2%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2분기 적자에 따라 7.4% 감소

 

- 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대기업이 3.6%, 중견기업이 2.7%이며, 중소기업은 1.2%로 전년동기대비 소폭 감소했고 기업규모별 격차가 존재

 

- 이는 환율효과, 전년도 생산차질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3 현상 등으로 원가 부담이 중소기업 중심으로 가중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가능

 

자동차 부품기업 영업이익

(단위 : 억원, %)

구 분

‘22

전년동기비 증감(%)

1Q

2Q

3Q

누적(1~3분기)

누적(1~3분기)

대기업

1,496

1,358

1,582

4,436

4.5

 

 

 

이익률(%)

3.8

3.3

3.5

3.6

0.2%p

중견기업

2,354

4,551

4,926

11,831

12.2

 

 

 

이익률(%)

1.8

3.1

3.2

2.7

0.2%p

중소기업

15

45

117

87

7.4

 

 

 

이익률(%)

0.7

1.8

4.3

1.2

0.3%p

3,865

5,864

6,625

16,354

9.8

 

 

 

이익률(%)

2.2

3.1

3.3

2.9

0.2%p


 

자동차 부품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경영여건 개선과 함께, 전기차 등 미래차 시장에 대비한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시점임

 

ㅇ 산업부는 그간 부품업계 간담회* 등을 통해 자금, 기술, 정보, 인력 등과 관련한 현장 애로를 청취하고 해소방안들을 중기부, 금융위 등과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부품기업 지원방안을 구체화할 계획

 

* 개최일자 : 7.22, 7.27, 11.10, 11.23, 11.25

 

ㅇ 아울러,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미래차 산업 전환 관련 법안들에 우리 부품업계의 다양한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의견을 수렴하여 국회 및 관계부처와 협의 추진

 

자동차


 

(생산) 전년보다 개선된 반도체 수급 상황으로 전년동월 대비 25.4% 증가379,797생산하여 7개월 연속 플러스

 

* 월별 생산증감률(%): (4) 5.3 (5) +19.8 (6) +0.8 (7) +9.0
(8) +21.2 (9) +34.1 (10)+24.4 (11)+25.4

 

ㅇ 또한, 11월 자동차 생산량은 전체 생산의 85%를 차지하는 현대차기아의 연중 최대 생산 실적에 힘입어 올해 중 최고치 기록

 

‘22.1~11월 월별 자동차 생산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2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0pixel, 세로 309pixel


 

ㅇ 중형3도 모두 생산량이 증가*하였는데, 한국지엠은 전년동월 반도체로 인한 휴업과 주력 수출 차종의 역대 최대 생산**으로 2배 이상 증가

 

* 업체별 생산증감률(%): 현대 +16.7, 기아 +25.9, GM +108.5, 쌍용 +36.8, 르노 +33.7

** 트레일블레이저의 ‘22.11월 생산량(20,382)은 최초로 2만대 돌파

 

(내수) 전체 내수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8.4% 증가155,942로 국산수입차 모두 연중 최고 판매 실적을 달성하며 4개월 연속 증가세 시현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 5모두 국산차가 차지

 

‘22.11월 베스트 셀링카 TOP 5 ()

 

‘22.1~11월 베스트 셀링카 TOP 5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28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3pixel, 세로 28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2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1pixel, 세로 300pixel


 

- (국산차) 생산량 확대와 친환경차 판매호조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2.8% 증가126,730

 

- (수입차) 반도체 수급난 기저효과*로 전년동월 대비 41.9% 증가29,212 판매하여 국산차보다 크게 증가

 

* ‘21.11월은 작년 중 판매량이 가장 크게 급감했던 시기(20,585, 29.2%)

 

(수출) 물량은 전년동월 대비 25% 증가219,489, 금액31% 증가 54억 달러로 물량과 금액 모두 5개월 연속 두 자릿수증가

 

(물량) 반도체 수급 개선에 따른 생산 확대로 완성차모두 전년동월 대비 수출량이 증가하여 19.11월 이후 3년 만20만대 연속 상회

 

* 업체별 수출증감률(%) : 현대 +13.6, 기아 +24.5, GM +132.7, 쌍용 +94.3, 르노 +0.3

 

- 차종별로는 소형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였고, 그 중 SUV 차종은 주력 모델 중심으로 수출호조가 지속되어 수출 모델 TOP5 4 차지

 

* 차종별 수출증감률(%) : 경형 +20.0, 소형 2.0, 중형 +64.3, 대형 +29.2, SUV +28.0

 

(금액) 최대 자동차 수출 시장인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으로 수출증가하여 11수출액은 종전 최고치(22.7, 51.4억 달러) 경신

 

* ‘22.11월 지역별 잠정 수출(백만달러, 전년동월): 북미(2,634, +51%), EU(788, +6.3%), 기타유럽(358, 26.2%), 중동(481, +14.1%), 중남미(214, +22.8%), 아프리카(66, +27.8%), 오세아니아(372, +68.5%), 아시아(479, +73.2%)

 

- 올해 1~11수출액은 487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14484억 달러)를 추월하여 연간 수출액은 처음으로 500억 달러 돌파 예상

 

‘22.11월 수출 모델 TOP5()

 

‘22.1~11월 수출 모델 TOP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28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4pixel, 세로 28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28000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8pixel, 세로 372pixel


 

친환경차


 

(종합)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25.8% 증가42,604, 수출14.8% 증가50,042로 내수수출 모두 역대 동월(11) 간 최고 실적 달성

 

친환경차 내수·수출 현황

친환경차 내수 판매()

 

친환경차 수출 물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28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28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5pixel


 

(내수) 하이브리드차의 최고 판매 실적에 힘입어 친환경차 내수 판매10개월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22.9, 41,585) 경신

 

* 연료별 판매대수(전년동월) : 하이브리드차 24,892(+15.3), 전기차 15,403(+45.3),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1,213(+47.9), 수소차 1,096(+26.7)

 

하이브리드차는 인기모델(쏘렌토,스포티지 등)의 수요 지속과 신차 출시 효과(XM3)로 전년동월 대비 15.3% 증가하여 친환경차 내수 판매 견인

 

* 판매량(전년동월) : 쏘렌토 4,926(+105.4%), 스포티지 2,312(+21.2%), XM3 1,262대 등

 

ㅇ 국산수입차 모두 차종 판매가 증가하여 국산 친환경차는 전년동월 대비 22.3% 증가30,213, 수입 친환경차35.1% 증가12,391 판매

 

* 국산차 연료별 판매량(전년동월) : 하이브리드차 17,279(+11.3%), 전기차 11,838(+42.5%), 수소차 1,096(+26.7%)

* 수입차 연료별 판매량(전년동월) : 하이브리드차 7,613(+25.8%), 전기차 3,565(+55.3%),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1,213(+47.9)

 

(수출) 물량은 전년동월 대비 14.8% 증가50,042, 금액20.3% 증가14.9억 달러로 물량과 금액 모두 23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물량)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판매 호조가 친환경차 수출 증가를 견인하며 친환경차전체 자동차 수출22.8% 차지

 

* 연료별 수출량(전년동월) : 하이브리드차 24,054(+8.2%), 전기차 22,341(+27.4%),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3,604(4.0%), 수소차 43(46.9%)

 

- 특히, 전기차는 기존 인기 모델*의 수출 호조 지속에 힘입어 종전 최고치(22.7, 20,706)를 경신하며 역대 최고 실적 달성

 

* 모델별 수출량(전년동월): 아이오닉5 8,289(+20.1%), EV6 5,736(+120.0%)

 

- 22.1~11월 친환경차 누적 수출대수(49.8만대)는 수소를 제외한 모든 차종이 전년도 연간 실적을 뛰어넘어 50만대 돌파목전에 둔 상황

 

* 연료별 수출량(‘21’22.1~11) : (하이브리드차) 21만대26만대, (전기차) 15만대19만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3.8만대4.1만대, (수소차) 0.1만대0.04만대

 

(금액) 수출액 최초 10억 달러 돌파(21.9) 이후, 15개월 연속 10억 달러를 상회하며 종전 최고치(22.7, 14.7억 달러) 경신

 

- 연료별로는 전기수소차(8.2억 달러)가 최고치(22.10, 7.3억 달러)를 경신하며 최초로 8억 달러돌파, 친환경차 수출액 증가에 기여

 

* 연료별 수출액(전년동월): 하이브리드차 5.5억 달러(+12.7%), 전기·수소차 8.2억 달러(+31%),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1.2억 달러(3.2%)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