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국방부]’22년 6·25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봉안식 거행

btn_textview.gif

□ 국방부는 12월 16일(금) 14시,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이종섭 국방부장관이 주관한 가운데 ’22년 발굴된 6·25 전사자 217구의 유해 중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214구에 대한 합동 봉안식을 거행했습니다.

ㅇ 이날 봉안식은 국방부장관을 비롯해 육·해·공군과 해병대, 국가보훈처, 경찰청 주요 인사와 신상태 재향군인회장, 이석용 농협중앙회 기획조정본부장, 유해발굴에 직접 참여했던 장병 등 참석하에 유해발굴 추진경과 보고,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 영현 봉송 순으로 진행됐습니다.
* (참석)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정상화 공군참모총장, 여운태 육군참모차장,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국가보훈처 정임재 제대군인국장, 경찰청 우종수 차장,
김수삼 국립서울현충원장,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등

□ ’22년 유해발굴은 지난 3월부터 11월 말까지 강원도 철원·인제, 경기도 파주·연천 등 6·25전쟁 격전지 38개 지역에서 진행되었습니다.

ㅇ 산악지형, 집중호우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30개 사․여단급 부대 장병들은 “선배 호국영웅을 우리의 손으로 찾는다”라는 일념으로 217구의 유해를 수습하였습니다.

ㅇ 특히, 비무장지대인 백마고지 일대에서는 사전에 지뢰제거작전을 실시하는 등 안전이 보장된 가운데 45구의 유해를 우리 측 지역에서 수습하였습니다.

ㅇ 오늘 합동봉안식 이후, 214구의 신원미확인 전사자 유해는 국방부 유해 발굴감식단 내 유해보관소에 안치할 예정이며, 신원이 확인된 3구의 유해는 12월 20일(화) 국립묘지에 안장될 예정입니다.
* 안장 예정자 : 고 양범석 일병, 고 편귀만 하사, 고 김용일 이등중사

□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은 지난 2000년,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현재까지 수습한 국군전사자 유해는 모두 1만 2천여 구이며, 그 중 204구의 신원을 확인하여 가족의 품으로 모셔왔습니다.

ㅇ 또한, ’20년에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의 조직을 확대 개편하고, ’21년에는 유해의 보관-감식-유전자 분석 등 신원확인을 위한 모든 과정을 전담하는 신원확인센터를 개소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신원확인센터 : 유품·유해보관소, 감식실, 유품·자료분석실, 연구실 등

ㅇ 특히, 최신 유전자 분석 기법을 도입하고, 과거에 수집된 유해와 유가족의 유전자 정보를 재분석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과거 대비 ’20년 이후 연간 신원확인 전사자의 수가 3배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 평균 신원확인 인원 : 6.9명(’00~’19년) → 22명(’20~’22년)

□ 국방부는 관계부처와 지자체 등의 노력을 통합하는 민·관·군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고, 많은 유가족들이 유전자 시료 채취에 동참할 수 있도록 국민 캠페인 등의 홍보를 강화하는 등 6․25 전사자 유해발굴과 신원확인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 발굴된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6·25 전사자 유가족의 유전자 확보는 현재까지 8만여 개(전사자 기준 5만여 개)로, 미수습 전사자 12만여 명 대비 많이 부족한 실정

□ 앞으로도 국방부는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6·25 전사자 마지막 한 분까지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모시기 위한 ‘국가 무한책임’의 소명을 다해 완수해 나가겠습니다. <끝>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