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2022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 발표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와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사장 남민우)은 일반 국민과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현황을 조사한 ?2022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2022 기업가정신 실태조사*는 국가승인통계(승인번호 427001)로, 개인(10,000명 이상)과 기업(3,000개사 이상)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지향성, 기업가적 역량, 태도 및 인식 등을 조사해 발표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가정신 관련 조사이다.
 
* 2015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매년 실시했으나, 2019년부터는 3년 단위로 실시
 
이번 조사는 약 1.2만명의 개인과 약 3천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8월부터 3개월간 실시했으며, 조사결과는 기업가정신 현황과 수준 진단은 물론, 기업가정신 연구와 교육 및 정책 수립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2022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개요>
 
? 모 집 단 : (개인편) 만 13세 이상 69세까지 일반 국민
(기업편) 전국 사업체(기업통계등록부(SBR) 표준산업 대분류 오(O), 에스(S), 티(T), 유(U) 제외)
 
? 유효표본 : (개인편) 총 11,958개, (기업편) 총 3,120개
 
? 조사기간·방법 : 2022년 8월∼10월, 가구/사업체 방문 면접조사(전화, 팩스, 전자우편(이메일) 병행)
 
* 표본조사 결과를 활용해 모집단 값을 추정(신뢰도 95%, 표본오차 ±0.55%(개인) ±1.10%(기업))
 
? 조사기관 : 한국평가데이터
 
? 조사항목
 
- (개인편)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 ?기업가적 역량, ?기업가적 태도,
?기업에 대한 인식, ?기업가적 행동,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조사
 
- (기업편) ?비전과 전략, ?기업가적 지향성, ?문화와 구조, ?운영체계, ?성과,
?경영환경, ?조직의 기업가정신 활동 조사
 
?2022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 개인과 기업 모두 조사항목의 모든 부문에서 전반적으로 지난 2019년 조사 대비 기업가정신 수준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1> 개인의 기업가정신
 
개인의 종합적인 기업가정신 수준은 ’19년도 조사 대비 큰 수준으로 향상(49.1점→56.4점, 7.3점↑)됐으며, 항목별로는 기업가적 지향성(9.2점↑)과 기업가적 역량(8.4점↑), 기업가적 태도(4.5점↑) 등 모든 항목에서 상승했다.
 
[총점 100점 기준]
기업가적 지향성 : 개인의 기업가적 성향을 의미하며, 혁신성, 위험감수성,
시장선도성, 자율성, 경쟁추구성, 성취욕구 등으로 측정
기업가적 역량 : 기업가정신의 실천적, 행동적 특성을 의미하며, 인지역량,
대인관계 역량, 사업화역량 등으로 측정
기업가적 태도 : 창업활동에 대한 실천적인 태도와 의지를 의미하며, 기업가적 태도, 개인적 인식, 사회적 인식 등으로 측정
개인의 특성에 따른 기업가정신 수준은 ?성별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고, ?연령별로는 2~30대가 타 연령대보다 비교군 내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 개인 특성별 기업가정신 수준 >
 
(성별) 남성 58.2점, 여성 54.6점
 
(연령) 20대 59.8점, 30대 59.1점, 40대 56.6점, 50대 55.4점, 10대 54.1점, 60대 52.5점 順
 
* 기업가적 지향성, 기업가적 역량, 기업가적 태도를 묻는 총 42개 항목 기준
 
아울러, 2022년 조사에서 추가된 ?기업에 대한 인식? 항목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64.0점)이 반기업정서(57.6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군별 긍정적 인식은 창업기업(스타트업)(64.9점), 벤처기업(64.5점), 대기업(63.8점), 일반 중소기업(62.8점) 순으로 나타났다.
 
<2> 기업의 기업가정신
 
기업의 종합적인 기업가정신과 수준도 ’19년도 조사 대비 큰 수준으로 상승(29.6점→47.7점, 18.1점↑)했으며, 항목별로는 비전과 전략(13.5점↑), 기업가적 지향성(18.1점↑), 문화와 구조(20.2점↑), 운영체계(20.2점↑) 등에서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총점 100점 기준]
비전·전략 : 기업의 전략적 특성을 결정하는 기업가적 방향성을 의미하며,
최고경영자 지도력(리더십), 가치와 전략으로 측정함
기업가적 지향성 : 조직의 기업가적 성향을 의미하며, 혁신성, 위험감수성,
시장선도성, 자율성, 경쟁추구성, 성취욕구로 측정함
문화·구조 : 기업가정신 및 혁신에 대한 조직 내부 환경 요소를 의미하며,
참여와 노력, 회사의 제도화, 점검·보상으로 측정함
운영체계 : 기업가정신 실현을 위한 조직의 조직 제도 기반을 의미하며,
에이치알(HR)프로그램, 예산시스템, 규정·절차로 측정함
성과 : 기업가적 활동을 통해 달성한 구체적 성과를 의미하며,
제안성과, 사업성과, 재무성과로 측정함
경영환경 : 기업가정신 활성화를 위한 기업 외부 환경 요소를 의미하며,
시장, 자금조달, 정책, 인적자본, 지원, 사회적 문화로 측정함
 
기업의 특성에 따른 기업가정신 수준은 ?산업분류에서는 교육 서비스업이 가장 높았고, ?성장단계별로는 초기성장기 기업이 비교군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기업의 특성별 기업가정신 수준 >
 
(산업별) 교육 서비스업 82.3점, 금융·보험업 68.6점, 광업 64.3점, ···중략···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27.0점, 농업·임업·어업 18.9점 순(順)
 
(성장단계별*) 초기성장기 기업 58.5점, 고도성장기 기업 53.8점, 신생창업기 기업 53.2점, 성숙기 기업 47.0점, 쇠퇴기 기업 27.1점 순(順)
 
* 신생창업기(제품·서비스의 개발·준비 단계), 초기성장기(제품·서비스 출시 직후 매출 발생 단계), 고도성장기(시장 확대를 통한 매출 급증 단계), 성숙기(고성장기를 지나 성장이 안정되는 단계), 쇠퇴기(사업 활동의 정체 및 철수 고려 단계)
 
아울러, 2022년 조사에서 추가된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관련성?과 ?사업(비즈니스)모형(모델) 혁신? 항목 조사 결과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관련 기업(48.7점)은 관련 없는 기업(47.6점)보다 기업가정신 수준이 높았으며, ‘벤처·혁신형중소기업(이노비즈)·경영혁신형중소기업(메인비즈) 인증’ 기업(52.1점)이 미인증기업(47.5점)보다 기업가정신과 사업(비즈니스)모형(모델) 혁신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이영 장관은 “조사 결과가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교육, 정책 등에 활용되는 만큼 공신력 있는 조사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며,
 
“향상된 기업가정신 수준이 침체된 경제 여건 속에서 혁신과 성장의 원동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22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는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누리집(http://www.koe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전국 공공도서관 및 대학도서관에 실태조사 보고서를 책자 형식으로 12월 말까지 배치할 예정이며,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에서는 1월 20일부터 열람 및 활용이 가능하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3M 8997 폴리이미드 캡톤테이프 20mm x 32.9M
바이플러스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