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방송통신위원회]2021년도 국내 방송시장 매출액 19조 4,016억원

btn_textview.gif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이하 ‘방통위’)는 2021년 국내 방송산업 현황을 담은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ㅇ ‘방송산업 실태조사’는 정부 정책, 기업의 경영계획 및 학계·연구소의 연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방송매출 1억원 이상의 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2000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이다.

- 매년 6월 발표되는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방통위)’의 매출액 이외에 프로그램 제작·구매비, 수출입, 종사자 등을 추가로 조사하여 매년 12월에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 (대상) 지상파, 유료방송사,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 422개(내용) 매출액, 유료방송 가입자, 방송프로그램 수출입 및 제작·구매비, 종사자 등(수행기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 2021년 말 기준 우리나라 방송시장 규모는 방송매출액 기준으로 19조 4,016억원으로 전년대비 7.7% 증가하였다.

ㅇ 사업자 유형별로 보면 지상파방송사업자(DMB 포함, 이하 ‘지상파’),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사업자(이하 ‘IPTV’),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이하 ‘PP’)와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사업자(이하 ‘IPTV CP’)의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그 외 사업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상파(DMB 포함)의 총 매출액은 약 4조원으로 전년대비 4,191억원 증가(+11.7%)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그 중 2021년 지상파 광고매출은 중간광고 도입(‘21.7월)과 코로나 회복에 따른 기업의 마케팅 증가에 힘입어 약 1조 2천억원으로 전년대비 20.8% 성장하였다.

□ 유료방송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약 7조원으로서 전년대비 2,621억원 증가(+3.9%)하였으나, 성장률 둔화세는 지속되었다.

ㅇ 유료방송사업자 유형별 매출액은 IPTV 4조 6,368억원(전년대비+8.2%), 종합유선, 즉 SO(중계유선, 즉 RO 포함) 1조 8,547억원(전년대비△4.1%), 위성방송 5,210억원(전년대비△2.2%)으로 나타났다.

□ PP의 총 매출액은 7조 5,520억원으로 전년대비 6.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ㅇ 홈쇼핑을 제외한 PP의 매출액*은 약 3조 7천억원으로서 전년대비 4,695억원 증가(+14.4%)하였으며,

* 종합편성(이하 ‘종편’) PP, 보도 PP, 일반 PP(일반데이터 PP 포함)의 방송사업 매출액 합계이며, 홈쇼핑 PP 및 데이터홈쇼핑 PP는 제외

- 광고 매출(+15.5%)과 협찬 매출(+22.7%) 및 프로그램 제공(콘텐츠 대가 수익, +7.3%) 등 매출항목 전반에 걸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홈쇼핑PP(데이터홈쇼핑 PP 포함)의 매출액은 약 3조 8천억원으로서 전년대비 83억원이 증가(+0.2%)하였다.

- 그러나 부문별로 보면 TV홈쇼핑 매출액은 2년 연속 감소한 반면, 데이터홈쇼핑 매출액은 비교적 높은 성장세(전년대비 +11.9%)를 보였다.

※ (TV홈쇼핑 성장율) (’18) △7.9% → (’19) 4.0% → (‘20) △1.8% → (‘21) △2.5%
(데이터홈쇼핑 성장율) (’18) 74.1% → (’19) 32.3% → (‘20) 27.7% → (‘21) 11.9%

□ IPTV CP의 총 매출액은 8,440억원으로 방송프로그램판매매출이 증가하여 전년대비 37.7% 성장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유료방송 가입자는 3,577만 단자로 전년대비 98만 단자가 증가(+2.8%)하였으나, 증가율은 2016년 이후 계속 하락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증가율: (’16) 6.2% → (’17) 5.5% →(’18) 3.5% →(’19) 3.2% → (’20) 2.9%→ (’21) 2.8%

ㅇ 사업자 유형별 가입자 수는 IPTV 1,989만 단자(전년대비+7.3%), 종합유선(SO) 1,288만 단자(전년대비 △1.9%), 위성방송 299만 단자(전년 대비△2.9%), 중계유선(RO) 1.2만 단자(전년대비 △66.7%)로 파악되었다.



□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는 약 3조원으로 전년대비 1,273억원 증가(+4.4%)하였으며,

ㅇ 2020년 코로나로 감소했던 프로그램 제작이 재개?활성화되면서 지상파와 PP 모두, 제작·구매비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연도별 증가율 : (’18) 18.5% →(’19) 6.52% → (’20) △11% → (’21) 4.4%



□ 2021년 프로그램 수출액은 약 4억 3천만 달러로 ‘20년 대비 11.9% 감소*, 수입액은 약 6천만 달러로 2020년 대비 2.3% 증가하였다.
* 일부 PP사의 해외 OTT 드라마 판매가 감소함



□ 방송분야 종사자 수는 3만 6,592명으로 전년대비 541명이 감소 (△1.5%)하였으며, 2020년에 이어 감소하였다.

ㅇ 사업자별 종사자 수는 지상파(DMB 포함)가 1만 3,670명(전년대비 △200명, 전체의 37.3%), 유료방송*이 5,803명(전년대비 △211명, 전체의 15.9%), PP**가 1만 7,119명(전년대비 △130명, 전체의 46.8%)으로 나타났다.

* IPTV 919명(전년대비 +65명), 종합유선(SO) 4,456명(전년대비 △256명), 위성방송 379명(전년대비 △6명), 중계유선(RO) 49명(전년대비 △14명)

** 종편 1,932명(전년대비+188명), 보도 1,103명(전년대비 △15명), 일반 7,519명(전년대비 △225명), 홈쇼핑(데이터홈쇼핑 포함) 6,565명(전년대비 △78명)

□ 구체적인 실태조사 결과는 과기정통부(www.msit.go.kr), 방통위 방송통계포털(www.mediastat.or.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www.kisdi.re.kr) 홈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다.
※ 본 조사는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와 대상사업자, 수치 산정 기준 등이 다르므로, 가입자 수, 매출 등 일부 수치가 다를 수 있음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