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019년「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 발표

btn_textview.gif


- 2019년「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 발표 -

?


산업기술인력(`18년말 기준)은 166만명(1.7% ?), 부족률은 2.2%(전년 동일)

? 바이오?헬스, 반도체, SW 산업에서 산업기술인력 증가 주도

?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높은 중장년층 비중에 따른 고령화 현상 확대

? 경력직 선호현상으로 채용인력 중 신입자 비중 50% 미만 기록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근로자 10인 이상의 전국 12,646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함(2018년 말 기준).

?


* 산업기술인력 :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관련 관리자, 기업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

?


동 조사는 산업기술인력의 산업별, 직종별, 지역별 수급과 구인, 채용, 퇴사인력현황 등을 파악하는 정부승인 통계로, ‘05년부터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함께 실시하고 있음

?



?


< 조사 개요 >

?


?


?


(조사대상) 근로자 10인 이상 전국 사업체(103,048개) 중 12,646개 표본사업체

(조사기간) ‘19. 7. 29 ~ 10. 11

(조사내용) ‘18년말 기준 산업별?직종별?지역별 산업기술인력 현원?부족인원, 구인?채용?퇴사인력 등

(조사범위) 제조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영상제작 및 통신 서비스업, 기타비스업

(조사 주관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조사 결과>

?


□ 전체 현황

?


(산업기술인력 현원) `18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166만 1천명으로 체 근로자수 대비 비중은 34.1%, 전년대비 2만 7천명(1.7%) 증가

?


(인원부족률) 부족인원은 총 37,484명으로 전년대비 576명 증가(1.6%) 하였으며, 부족률은 2.2%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

?


<산업기술인력 현황 및 부족률(단위: 명, %)>


구분

사업체

근로자수

(A)

산업기술인력

현원

(B)

비중

(B/A)

부족인원

(C)

부족률

(C/(B+C))

2016년 기준

4,756,021(5.9)

1,617,053(1.4)

34.0%

36,271(1.8)

2.2%

2017년 기준

4,810,083(1.1)

1,634,346(1.1)

34.0%

36,908( 1.8)

2.2%

2018년 기준

4,875,651(1.4)

1,661,446(1.7)

34.1%

37,484( 1.6)

2.2%

?


주: 1) 족인원: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2) 부족률=[부족인원/(종사인원+부족인원))×100 3) ( ) 안의 수치는 전년대비 증가율

?


사업체 특성별 현황

?


(업종별) 기계,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110만 1천명으로 전년대비 0.6% 증가

?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변화(단위: 명, 전년대비%)>


구분

12대 주력 산업 전체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

기계

자동차

조선

철강

화학

바이오

헬스

섬유

SW

IT

비즈니스

18년말

기준

1,101,105

92,873

50,100

203,988

153,681

118,524

60,301

65,289

126,006

31,572

36,197

139,454

23,120

(0.6)

(2.6)

(△0.9)

(1.2)

(0.3)

(1.9)

(△4.9)

(△2.2)

(△1.0)

(5.1)

(0.5)

(2.6)

(1.6)

?


- ‘18년말 기준 바이오?헬스(5.1%), 반도체(2.6%), SW(2.6%), 자동차(1.9%) 산업은 높은 산업기술인력 증가율을 보이고, 조선(4.9%), 철강(2.2%), 화학(△1.0%), 디스플레이(△0.9%) 산업은 감소 시현

?



<전년 대비 산업기술인력 증가율 상위 4개 산업>

<전년 대비 산업기술인력 감소율 상위 4개 산업>

????????????????????????????????????????????????????????????????????????????????????????????????????????????????????????????????????????????

????????????????????????????????????????????????????????????????????????????????????????????????????????????????????????????????????????????

- 부족률을 살펴보면 SW(4.3%), 바이오?헬스(3.3%), 화학(3.3%)산업이 평균 부족률 2.2%를 상회하는 3% 이상의 부족률 시현

?


* 최근 5년간 SW, 바이오?헬스, 화학 산업은 他 주력산업보다 높은 부족률 시현

?


?



????????????????????????????????????????????????????????????????????????????????????????????????????????????????????????????????????????????

?


(규모별)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산업기술인력 증가율은 낮아지고 인력 부족률은 높아져 중소기업의 산업기술인력 확보 애로 지속

?


* 대규모 사업체(500인 이상) 부족률 대비 중소규모 사업체(300인 미만)는 7.8배, 중견규모 사업체(300~499인)는 2.0배

?


<규모별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증가율>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비교(대기업=1)>


????????????????????????????????????????????????????????????????????????????????????????????????????????????????????????????????????????????

?


????????????????????????????????????????????????????????????????????????????????????????????????????????????????????????????????????????????

?


(지역별) 수도권 49.6%(82만 5천명), 비수도권 50.4%(83만 7천명)으로 산업기술인력의 수도권 비중은 전년과 유사

?


* 수도권 산업기술인력 비중: (‘15)48.4% (‘16)48.8% (‘17)49.0% (‘18)49.6%

?


인적 특성별 현황

?



(학력별) 고졸을 제외하면 학력이 높을수록 산업기술인력 현원의 증가율 및 부족률이 모두 상승

?


- 고급인력 현원의 확대에도 부족을 호소하는 질적 미스매치가 지속 되는 것으로 판단

?


????????????????????????????????????????????????????????????????????????????????????????????????????????????????????????????????????????????

- 중소업체의 고급인력 부족현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 대학원졸 부족률 비교 : 중소업체(4.3%) > 대규모 사업체(0.9%)

?


(성별) 남성은 143만 6천명(1.6% 증가), 여성은 22만 5천명(2.1%증가)으로 여성 비중 전년과 유사

?


* 여성 산업기술인력 현원 비중: (‘16)13.0% ? (‘17)13.5% ? (‘18)13.6%


(연령별) 20~30대의 비중은 중견규모 사업체가 가장 크고, 50대 이상 장년층 비중은 중소규모가 가장 높아 중소업체의 고령화 문제 심화


<사업체 규모별ㆍ연령별 비중> <중소 사업체 50대 이상 인력 비중>


????????????????????????????????????????????????????????????????????????????????????????????????????????????????????????????????????????????

?


????????????????????????????????????????????????????????????????????????????????????????????????????????????????????????????????????????????

주: 비중=(해당 규모 산업기술인력/전체 산업기술인력)*100

?


퇴사?구인인력, 채용인력, 미충원인력, 채용예상 인력 전년대비 증가

?


<‘18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 퇴사, 구인, 채용, 미충원현황>


퇴사인원

구인인력

채용인력

미충원인력

채용예상인력

155,382명

(전년대비 +2.6%)

152,424명

(전년대비 +0.3%)

145,944명

(전년대비 +1.3%)

15,357명

(전년대비 +6.1%)

54,083명

(전년대비 +3.3%)

* 미충원인력 : 1년동안 사업체에서 적극적 구인활동을 했으나, 채용하지 못한 인력

** 채용예상인력 : ‘20년 1년동안 기업들이 채용하고자 예상한 산업기술인력

?


입사 1년 이내 조기 퇴사인력은 전년대비 5.2% 증가한 61,604명으로, 퇴사율은 42.2% 수준으로 전년대비 상승

?


* 조기 퇴사율 변화: (‘15)41.7% ? (‘16)40.1% ? (‘17)40.6% ? (‘18)42.2%

?


ㅇ 채용인력 중 경력자 비중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신입자 비중은 지속적 하락하여 50% 미만 기록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의 경력유무별 비중 변화>


????????????????????????????????????????????????????????????????????????????????????????????????????????????????????????????????????????????



????????????????????????????????????????????????????????????????????????????????????????????????????????????????????????????????????????????


이번 조사결과, 중소기업의 인력난 50대 이상의 장년층 확대에 따른 고령화 심화, 경력직호 현상 확대라는 특징이 나타남

?


인구 고령화 및 구직자의 중소기업 기피현상*에 따라 중소기업은 인력난과 고령화를 동시에 겪고 있다는 것을 시사

?


* 중소규모 미충원인력 비중 : 10~29인(35.2%), 30~99인(39.2%), 100~299인(17.9%)


경력자 선호가 확대된 것은 “현장투입이 바로 가능한 숙련?경력을 갖춘 인력 부족”(기업의 미충원 사유 18.8% 응답) 등 산업현에서 질적 인력미스 매치 심화 따른 것으로 파악

?


업종별로 살펴보면, ‘18년말 기준 바이오?헬스, 반도체, SW 산업이 산업기술인력 증가를 주도하였으며, 일부 업황 불황으로 인해 조선*, 철강**, 디플레이*** 산업은 인력 감소를 보였음

?


* ‘18년 전세계 조선업 불황의 여파로, 구조조정을 추진함에 따라 인력감소

** 상계관세 등 무역규제 증가, 수요산업(조선, 건설) 침체 등 대외 악재

*** 중국 등의 생산 확대로 글로벌 과잉공급에 따른 단가하락, 수출감소

?


또한 SW, 바이오?헬스, 화학 등 新산업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높은기술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


기업들은 산업기술인력 부족사유로 경기변동에 따른 인력수요 변동, 잦은 이?퇴직, 직무수행 역량 부족을 들고 있음

?


이러한 인력 부족 해소를 위해서는 산업현장에서의 활용에 초점 맞춘 인력 양성 정책 추진과 新기술 중심으로 재직자 훈련 개편 필요성을 시사

?


<기업의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 발생 사유>


????????????????????????????????????????????????????????????????????????????????????????????????????????????????????????????????????????????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석박사급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산업혁신인재 성장지원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


* 산업혁신인재양성 지원 사업 : ‘19년 901억원 → ‘20년 1,015억원

?


ㅇ 지속적인 인력부족을 호소하는 바이오?헬스, 화학 분야 전문연구인력 양성 과정 신설을 추진할 계획

?


□ 또한, 질적, 양적 인력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업계의 인력 수요가 대학 및 직업훈련기관에 체계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산업계의 수요전달 기능을 강화할 예정

?


이를 위해 금년 상반기 중 전문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큰 “미래 유망산업”을 비롯하여 우리 주력산업에 대해 2030년 기준으로 인력 급전망을 예측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전략과 방향을 제시하고,

?


* ‘20년 상반기 중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선박, 항공드론, 미래자동차, 지능형로봇 5개 신산업 인력 조사?전망 결과를 발표할 계획

?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대학, 직업훈련기관과의 상시 소통체계 구축, 新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수요자 맞춤형 직업훈련계 정비, 지역산업체, 대학, 지역 혁신기관이 연계하는 맞춤형 인재양성 확대 등을 중점 추진해나갈 계획임.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모닝/뉴모닝 대시보드커버 대쉬보드커버 실내매트
칠성상회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케이스 선바이저 부착 4color
칠성상회
코벨세차스폰지(10P) 자동차세차 스펀지 자동차용품
칠성상회
GV8 더넥스트스파크 HL 붓펜 투명 세트 카페인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