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국토교통부]원주·부평·동두천 4개 폐쇄 미군기지, 주민 품으로 돌아온다

btn_textview.gif

- 한·미 SOFA 합동위, ①오염정화 책임, ②사용중인 기지의 환경관리 강화방안, ③SOFA 관련 문서 개정에 대해 지속 협의하는 조건으로 4개 폐쇄 미군기지 즉시 반환에 합의
- 용산공원의 차질 없는 조성을 위해 용산기지 반환절차 본격적으로 시작
- 한세기여만에 제 모습 찾아가는 용산, 반환절차의 첫발 내딛는다.

정부는 12월 11일(수) 오후,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서 미국과 제200차 SOFA 합동위원회(이하 합동위)를 개최하고 장기간 반환이 지연되어온 4개 폐쇄 미군기지*를 즉시 반환받는 한편, 용산기지의 반환 협의 절차도 개시하기로 했습니다.
* 원주(캠프이글/'09.3월 폐쇄, 캠프 롱/'10.6월 폐쇄), 부평(캠프마켓/'11.7월 폐쇄), 동두천(캠프호비 쉐아사격장/'11.10월 폐쇄)

한·미 양측은 ①「?오염정화 책임, ?주한미군이 현재 사용중인 기지의 환경관리 강화방안, ?韓측이 제안하는 SOFA 관련 문서의 개정 가능성에 대해 한미간 협의를 지속한다는 조건하에 4개 기지 즉시 반환」에 합의하고, 아울러 ②「용산기지의 SOFA 규정에 따른 반환절차 개시」에도 합의했습니다.

이번에 반환되는 4개 기지는 2010년(롱, 이글, 호비 쉐아 사격장)과 2011년(마켓)부터 SOFA 규정에 따른 반환절차를 진행했으나, 오염정화 기준 및 정화 책임에 대한 美측과의 이견으로 오랫동안 반환이 지연돼왔습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한·미 양측은 2019년 초부터 환경ㆍ법 분야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합동실무단(JWG, Joint Working Group)을 운영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이에 반환 지연에 따른 오염확산 가능성과 개발계획 차질로 경제적·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당 지역에서 조기 반환 요청이 끊임없이 제기돼 온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정부는 NSC 상임위원회 논의를 거쳐 지난 8월 30일 이들 4개 기지의 조기 반환 등을 추진하기로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관계부처(외교부, 국방부, 환경부)가 참여하는 범정부TF를 구성하여 기지를 반환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논의와 입장 조율을 거쳐 美측과 SOFA 채널을 중심으로 협의를 진행해 왔습니다.

다만, 美측과의 오염책임 문제 관련 협의에는 상당 기간이 소요되어 온 반면, 기지 반환 문제는 보다 시급히 해결돼야 할 과제여서, 우리측은 이번 SOFA 합동위에서 앞으로 미측과 협의를 지속한다는 조건 하에 4개 기지의 즉시 반환에 합의했습니다.

기존에는 한·미간 정화책임 관련 협의가 장기간 공전하여 기지반환 자체가 지연됨에 따라, 美측과 정화책임 관련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태로 SOFA 관련 협의를 종결하였다면, 이번에는 美측의 정화책임과 환경문제 관련 제도개선 등에 대한 협의의 문(門)을 계속 열어놓고 기지를 반환받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앞으로 정부는 美측과 협의를 계속하여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한편, 이번 합동위에서 한·미 양측은 ’용산기지의 SOFA 규정에 따른 반환절차 개시‘에도 합의했습니다.

정부는 주한미군사령부의 인원 및 시설 대부분이 평택으로 이미 이전한 상황에서 2005년에 발표한 용산공원 조성계획이 과도하게 지연되지 않도록 SOFA 반환절차를 개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앞으로 반환절차가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철저하게 환경조사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용산기지 반환절차의 첫발을 내딛는 이번 합의는 용산이 과거 외국군대 주둔지로서의 시대를 마감하고, 우리 국민의 품으로 돌아오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용산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주요 전쟁기에는 외국군대가 주둔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군의 핵심거점으로 이용됐던 지역으로서, 용산기지의 반환은 이 지역에서 한세기여만에 우리의 역사를 열어가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아울러 광복 이후에는 용산에 주한미군이 주둔하면서 이곳에서 한미동맹의 역사가 시작됐는데, 이제 용산시대를 넘어 평택시대의 개막으로 한미동맹이 새로운 시대로 발전해 나가는 상징성도 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에 반환절차를 개시한 용산기지를 포함하여 미군의 이전으로 폐쇄됐거나 폐쇄될 예정인 나머지 기지들도 미측과의 환경문제 관련 협의 진전 동향 등을 종합 감안하면서 적절한 시점에 반환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붙임. 용산기지의 역사 ]

- (고려시대) 13세기 말, 몽골군(元) 침략 시 용산에 일본정벌을 위한 병참기지 설치 → 최초의 외국군 주둔
- (1592년) 임진왜란 초기 왜군은 용산에 후방 병참기지 조성
- (1882년) 임오군란 시 용산기지 북부(現캠프 코이너)에 청나라군 지휘소 설치 → 同 시기부터 외국군대가 용산에 상주
- (1894년) 청일전쟁 발생 후 일본군 8천여명 용산 상륙, 조선 진출의 전초기지로 활용
- (1899~1918년) 일본은 일본의 용산에 대륙진출의 발판 마련(철도 건설) 및 군사기지(사령부 건설) 구축을 통한 한반도 식민지화 본격 시행
- (~1945년) 용산은 대륙침략을 위한 동원기지로 변화, 1938년부터 시작된 조선 청년 강제징용의 입영장소로도 사용
- (1945~1949년) 미군정 시기 美7사단 주둔하여 3년여 사용
- (1949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48년) 후 국방부와 육군본부 용산으로 이전했으나, 6·25전쟁 발발로 용산에 한국군 단독으로 주둔·활동한 것은 1년 미만에 불과
- (1950~1953년) 한국전쟁 기간 미군은 용산기지 재건 개시하자 '52년 정부가 미군에 공여, 정전협정 후 '53년 9월 美 8군사령부가 용산으로 이전
- (1957년) '53년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로 미군 주둔의 법적근거 마련, '57년 유엔군 사령부 이전(←도쿄) 및 주한미군사령부 창설('67년 SOFA 체결), '78년 연합사령부 창설
- (1987년~) 전·평시 작전통제권 전환과 함께 용산기지 이전 논의 시작
* '87년 당시 노태우 대통령후보는 ‘작전통제권 환수 및 용산기지 이전’을 공약으로 제시
- (2003년~) ?'03년 한·미 정상간 용산기지 이전 합의 ?'04년 용산기지이전협정(YRP) 체결 ?'05년 용산국가공원 조성 결정 ?'07년 「용산공원조성 특별법」 제정
※ 출처 : ’군사적 관점에서 본 용산 기지의 역사‘(한미연합군사령부)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OHP필름 A3 (레이저프린터용)100매
칠성상회
만들기대장-역대 대통령 입체 책만들기
칠성상회
대영케미컬 올뉴모닝JA M9Y 밀키베이지 카페인트 스프레이 자동차
칠성상회
그랜드카니발 성에방지커버 자동차 앞유리 커버 덮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