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국가유산청]「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수리공사 중 1602년 상량묵서 발견

btn_textview.gif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종로구청(구청장 정문헌)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의 지붕보수 공사 중에 1602년에 기록된 상량묵서를 발견하였다.
* 상량묵서 : 목구조의 최상부 부재 종도리에 묵으로 건축 과정 관련 정보들을 쓴 기록

지난해 9월부터 진행 중인 보물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의 지붕보수 공사 과정에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조선시대 건축역사의 흔적들이 발견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지붕 해체 과정에서 18m에 달하는 단일 목부재로 제작한 평고대가 확인된 데 이어, 이번에는 종도리 하부에서 상량묵서 기록이 발견되었다.
* 평고대: 추녀와 추녀를 연결하는 가늘고 긴 곡선 부재로 한옥의 자연스러운 처마 곡선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재
* 종도리 : 서까래 밑에 가로로 길게 놓이는 도리 부재 중 제일 높은 곳에 놓이는 부재

이번에 발견된 상량묵서에는 1602년 10월 26일에 상량하였다는 내용과 목수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대성전은 1407년 재건되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었다가 선조 35년(1602년) 7월에 중건 공사를 끝냈다고 전해지고 있어, 두 기록 간에 몇 개월의 오차가 있고, 목수와 관련해서도 당대 국가적 건축공사를 담당했던 숙련된 솜씨의 장인들임에도 아직까지 다른 기록에는 같은 이름을 발견할 수 없어 향후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묵서 기록: 萬 曆 二 十 九 年 十 月 二 十 六 日 上 樑 木 手 邊 首 金 順 億 金 夢 松 姜 香
(만력 이십구년시월이십육일(1602년 10월 26일) 상량목수편수 김순억 김몽송 강향)

이와 함께, 이번 지붕 해체 과정을 통해 대성전의 내부 천장에서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단청도 발견되어, 향후 전통단청 안료와 문양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숙종 30년(1704년) 대성전에 박쥐가 살면서 건물 내부를 더럽히자 이를 막기 위해 반자를 설치하였다고 전해지므로, 반자 내부의 단청은 숙종 이전에 시공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과거 수차례 이어진 대성전 수리공사 과정(1869년, 1971년, 1973년, 1991년, 2001년)에서도 상량묵서가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없고, 숙종 이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단청이 그대로 종도리 부재에 남아있어 이번에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더하고 있다.

현재 도리 해체 단계에 있는 대성전 보수공사는 2025년 2월 마무리될 예정이며, 매주 목요일마다 수리현장을 국민들에게도 공개하고 있으므로, 관심있는 국민은 사전 예약을 통하여 선조들의 건축과 관련된 흥미로운 설명을 현장에서 들으며 직접 볼 수 있다.
* 수리현장 중점공개: 매주 목요일(14:00~14:30, ‘24.5~12월) / (예약) 종로구 문화유산과(02-2148-2052 / kmei10@seoul.go.kr)

국가유산청은 그동안 대성전의 해체과정에서 발견된 단청기법과 도배지, 목재 치목 흔적 등에 대한 추가적인 학술적 조사를 통하여 우리의 건축 역사를 더욱 다양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가유산 수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 제고를 위하여 수리현장을 직접 볼 수 있도록 공개하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 치목: 재목을 다듬고 손질함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지붕보수 공사 중 발견된 상량묵서

<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지붕보수 공사 중 발견된 상량묵서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화일류 제본용 인덱스 내지 무지 A4 5분류 10세트
칠성상회
묶음 포스트잇 플래그 분류용 종이 670-5PN x 6EA
바이플러스
3M 810 매직테이프 50mm x 65M
바이플러스
3M 810 매직테이프 50mm x 65M
바이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