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2021년 농가소득 4,776만원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
4.28일 발표된 통계청 「2021년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21년 농가소득은 평균 4,776만원으로, 전년 대비 6.1%(273만원) 증가하였다.
< 소득종류별 농가소득 추이 >
(단위: 천원, %)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증감률 ('21/'20) | ||
|
|
|
| 구성비 |
| 구성비 | ||
농 가 소 득 | 38,239 | 42,066 | 41,182 | 45,029 | 100.0 | 47,759 | 100.0 | 6.1 |
- 농 업 소 득 | 10,047 | 12,920 | 10,261 | 11,820 | 26.2 | 12,961 | 27.1 | 9.7 |
- 농업외소득 | 16,269 | 16,952 | 17,327 | 16,608 | 36.9 | 17,884 | 37.4 | 7.7 |
- 이 전 소 득 | 8,902 | 9,891 | 11,230 | 14,263 | 31.7 | 14,809 | 31.0 | 3.8 |
- 비경상소득 | 3,022 | 2,302 | 2,364 | 2,337 | 5.2 | 2,105 | 4.4 | -9.9 |
[농업소득] 농작물․축산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21년 농업소득은 1,296만원으로 전년 대비 9.7%(114만원) 증가하였다.
· (미곡) 재배면적 증가(‘20년 726천ha → ’21년 732), 작황 양호(‘20년 483kg/10a → ’21년 530)로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7% 증가한 반면 수확기 쌀값은 1.1% 하락하여 수입 증가
* 미곡 농작물수입(만원) : (`19) 663 → (‘20) 667 → (‘21) 702(전년 대비 5.1%↑)
· (채소․과수) 채소·과일 생산·판매규모 증가, 채소가격안정제 확대 및 수매비축 등 적극적 수급 대책 추진 등의 영향으로 수입 증가
* 채소 농작물수입(만원) : (`19) 843 → (‘20) 926 → (‘21) 982(전년 대비 6%↑)
과수 농작물수입(만원) : (`19) 405 → (‘20) 474 → (‘21) 495(전년 대비 4.5%↑)
· (축산) 코로나19로 인한 한우․돼지․계란 등 주요 축산물 수요 증가, AI 발생에 따른 계란․닭고기 공급량 감소 등으로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입 증가
* 축산수입(만원) : (`19) 1,048 → (‘20) 1,043 → (‘21) 1,081(전년 대비 3.6%↑)
[농업외소득] 코로나19 이후 소비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비대면 판로 지원 및 소규모 체험프로그램 개발․보급 등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노력으로 ’21년 농업외소득은 1,788만원으로 전년 대비 7.7%(128만원) 증가하였다.
*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수(개소) : (`19) 1,624 → (‘20) 1,909 → (‘21) 2,034(전년 대비 6.5%↑)
* 농촌관광객 수(만명) : (`19) 1,307 → (‘20) 656 → (‘21) 731(전년 대비 11.4%↑)
[이전소득] 농업인 대상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기초연금 및 국민연금 지원 확대** 등의 영향으로 ‘21년 이전소득은 1,481만원으로 전년 대비 3.8%(55만원) 증가하였다.
* 소농 40만여호에 1,203억원(호당 30만원), 피해품목 농가 79백여호에 79억원(호당 100만원)
** 기초연금 30만원 지급대상(1인가구 기준) : (’20) 소득하위 40% → (‘21) 70
농업인 국민연금 수급인원·월평균수급액 : (’20) 478천명/306천원 → (‘21) 495/323
경영주 연령별로 보면, 60세 미만 경영주 농가의 소득은 7,253만원, 60대 경영주 농가는 5,584만원으로 농가 전체 평균소득보다 높았으며, 70세 이상 경영주 농가의 경우 3,637만원으로 전체 평균소득의 76.1%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지규모별로 보면, 소규모 농가를 배려하는 구조의 공익직불금(소농직불금 및 역진적 단가의 면적직불금),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공적보조) 증가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중소규모 농가의 전년 대비 소득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 경지규모별 전년 대비 농가소득 증가율(%) : (0.5ha 미만) 11.5, (0.5~1) 7.1, (1~2) 9.8, (2~3) 1.8, (3~5) 2.8, (5ha 이상) 1.7
‘21년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5억 8,568만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 부채는 3,659만원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함에 따라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6.2%로 축소되었다.
* 농가 자산 대비 부채 비율(%) : (`18) 6.7 → (`19) 6.7 → (‘20) 6.6 → (‘21) 6.2
< 농가 자산 및 부채 추이 >
(단위: 천원, %)
구 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증감률 ('21/'20) | ||
|
|
|
| 구성비 |
| 구성비 | ||
농가자산 | 505,881 | 495,687 | 529,455 | 565,622 | 100.0 | 585,676 | 100.0 | 3.5 |
- 고 정 자 산1) | 386,714 | 425,721 | 451,987 | 484,985 | 85.7 | 498,298 | 85.1 | 2.7 |
- 유 동 자 산2) | 119,166 | 69,966 | 77,469 | 80,638 | 14.3 | 87,377 | 14.9 | 8.4 |
농가부채 | 26,375 | 33,269 | 35,718 | 37,589 | 100.0 | 36,592 | 100.0 | -2.7 |
- 농 업 용 | 10,618 | 13,687 | 14,506 | 14,510 | 38.6 | 13,646 | 37.3 | -6.0 |
- 가 계 용 | 8,588 | 9,980 | 11,138 | 12,183 | 32.4 | 11,650 | 31.8 | -4.4 |
- 겸업·기타용 | 7,170 | 9,602 | 10,074 | 10,897 | 29.0 | 11,297 | 30.9 | 3.7 |
1) 고정자산: 토지, 건물 및 구축물, 기계·기구·비품, 대동·식물, 무형자산
2) 유동자산: 현금, 예·적금(정기) 등 금융자산, 재고자산(미처분농축산물, 미사용구입자재, 소동물 등)
붙임 1. 소득종류별 농가소득 추이
2. 경영주 연령별 및 경지규모별 농가수지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