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세균도 자원으로 활용한다…민관 공동 관리방안 마련
▷ 국립생물자원관, 99% 미발굴 상태인 세균 자원의 체계적인 관리 위한 민간-범부처 전문가 참여 학술회 개최
▷ 신종 세균 자원의 발굴 및 연구 강화를 위해 민관 공동 관리방안 마련
400만여 종으로 추정되는 세균* 자원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범부처-민간 전문가들이 공동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 세균: 핵막이 없는 원핵생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물군으로 박테리아라고도 함
세균 자원은 의학, 환경, 식품, 농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99%가 미발굴 상태이며 전 세계 학계에 기록된 세균 종수는 1만 7,838종에 불과하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 세균 관리 및 연구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1월 26일 오후 서울드래곤시티호텔(서울 용산구 소재)에서 민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술회(포럼)를 개최한다.
이날 학술회에는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생명공학연구원, 한국미생물학회 등 각부처 및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이번 학술회는 최근 들어 세균 자원의 산업적인 활용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전 세계에서 신종 세균에 대한 연구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마련됐다.
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검사에 미국 옐로우스톤 온천에서 찾아낸 세균*의 효소가 쓰이고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메탄을 분해할 때도 혐기성세균인 메탄자화균**이 활용된다.
* 이 세균의 이름은 써머스아쿠아티쿠스이며 1969년 미국 옐로우스톤의 고온열수구에서 발견됨
** 메탄을 메탄올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 혐기성 세균
전 세계에서 매년 1,000종 이상의 신종 세균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2009년부터 신종 발굴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해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400여 종의 신종 세균을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까지 총 2,012종의 자생 신종을 발표했으며, 매년 100여 종 이상의 신종을 보고하고 있다.
이번 학술회에서는 전 세계 학계에 우리나라의 신종 세균을 인정받기 위해 체계화된 연구 발표 절차와 관리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발견된 세균을 전 세계 학계에서 신종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균주를 서로 다른 국가에 소재한 기탁기관 최소 2곳에 기탁*해야 하며, 이들 기탁기관은 학술적 목적의 다른 연구자에게 분양을 한다.
* 국제 원핵생물명명규약 및 국제원핵생물분류학회 학술지(IJSEM) 규정
국립생물자원관은 지금까지 해외 기탁기관에 맡겨진 우리나라 자생 신종 세균이 2,012종에 이르나 이후 분양 결과와 학술연구 결과가 추적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해외 기탁 전에 우리나라 책임기관에 신고하는 절차를 마련하여 2022년 1월부터 시행하고, 기탁 기관에 보관된 자생 균주의 분양 정보, 연구 결과를 매년 연말에 자료를 공유할 계획이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세균으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은 전체 생물 산업의 60%를 차지하며 시장 규모도 3,000억 달러에 육박한다"라면서,
"이번 학술회에서 모아진 세균 자원 발굴 개선안이 세균의 발굴을 촉진하고, 연구자들에게는 신종 발굴의 선취권을 확보하는데 뒷받침이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세균자원의 예.
2. 범부처 포럼 개최 포스터.
3. 세부일정. 끝.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