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60~74세 연령층 중 미접종자 사전예약 실시(8.2., 정례브리핑)
60~74세 연령층 중 미접종자 사전예약 실시(8.2., 정례브리핑)
- 8.2.(월) 20시부터 사전예약 실시, 8.5.(목)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
◆ 예방접종 현황 및 55~59세 접종 안내
○ 8.2. 0시 기준으로 예방접종 1회 이상 19,472,376명(전 국민의 37.9%), 접종완료 7,146,409명(전 국민의 13.9%)
○ 55~59세 8월 둘째 주(8.9.~8.15.) 지역구분 없이 화이자 백신 접종
◆ 고령층 미접종자 접종 안내 ○ 60세이상 요양병원·시설 등 신규입소자 및 미동의로 인한 미접종자 중 희망자는 8.31.(화)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가능
○ 60~74세 연령층 8.2.(월) 20시부터 누리집 또는 콜센터(1339, 지자체)를 통해 사전예약 실시 - (사전예약) 8.2.(월) ~ 8.31.(화), (예방접종) 8.5.(목) ~ 9.3.(금)
◆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5~6월 위중증·사망자 중 93.5%는 백신 미접종자
○ 고령층 및 미접종자는 예방접종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 당부 |
1. 예방접종 현황 및 55~59세 접종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8월 2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19,472,376명으로 전 국민의 37.9%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7,146,409명으로, 전 국민의 13.9%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60대 86.9%, 70대 89.5%, 80세 이상 80.5%(1차접종 기준)이며, 7월 마지막 주부터 접종이 시작된 50대는 31.3%가 1차접종을 완료하였다.
구분 |
1차 접종 |
접종 완료 |
|||
1차접종자(명) |
접종률(%)* |
접종완료자(명) |
접종률(%)* |
||
계 |
19,472,376 |
37.9 |
7,146,409 |
13.9% |
|
연 령 |
80세 이상 |
1,815,054 |
80.5 |
1,738,733 |
77.1% |
70∼79 |
3,362,620 |
89.5 |
1,548,144 |
41.2% |
|
60∼69 |
6,202,465 |
86.9 |
543,993 |
7.6% |
|
50∼59 |
2,678,777 |
31.3 |
632,641 |
7.4% |
|
40∼49 |
1,818,430 |
22.4 |
662,120 |
8.2% |
|
30∼39 |
1,835,857 |
27.5 |
1,165,851 |
17.4% |
|
18∼29 |
1,759,173 |
23.1 |
854,927 |
11.2% |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인구 대비 접종률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 아울러 추진단은, 8월 둘째주(8.9.~15.)에 시행되는 55~59세 접종 또한 첫째주와 동일하게 지역구분 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 모더나 백신만 접종하는 위탁의료기관(591개소, 8.2. 0시 기준)의 경우,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
○ 8월 둘째 주에 예방접종 일정이 예정되어 있는 분들께는 접종일 전에 백신 종류 등을 문자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2. 고령층 미접종자 접종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 8~9월 시행계획>(7.30.)에 따라,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요양병원·시설 등 신규 입원·입소자, 60세 이상 고령층 미접종자 대상으로 접종을 시행한다.
○ 요양병원·시설 등의 입원·입소·종사자 중 신규자와 미접종자 중 희망자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50세 이상)으로 접종을 실시한다.
- 7월 27일(화)부터 실시된 접종은 8월 31일(화)까지 가능*하며, 요양병원의 경우 자체접종으로, 취약시설의 경우 시설계약의사 또는 보건소가 방문하여 접종한다.
* 추후 상황에 따라 연장 가능
○ 60∼74세 연령층 중 미접종자에 대해서도 상반기와 동일하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접종을 시행한다.
- 60~74세 연령층은 오늘 20시부터 누리집 또는 콜센터(1339, 지자체)를 통한 사전예약*이 가능하며, 거주지 등에 관계없이 방문 가능한 전국 보건소를 통해 8월 5일(목)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8주 간격)으로 접종받을 수 있다.
* (사전예약기간) 8월 2일(월)∼31일(화), (접종기간) 8월 5일(목)∼9월 3일(금)
○ 75세 이상 연령층의 경우 별도 기간 없이 예방접종센터에서 개별 예약 후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받을 수 있다.
○ 60세 이상 연령층도 다른 연령층과 동일하게 SNS 당일 예약이나 예비명단을 통해 위탁의료기관에서 mRNA 백신 접종도 가능하다.
3.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 8월 3일(화)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18.2만 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며, 이를 시작으로 8월에는 약 2,860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될 예정이다.
○ 백신별로는 코백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83.5만 회분,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및 화이자 백신 약 1,730만 회분, 모더나 백신 1,046만 회분*이 공급될 계획이다.
* 850만 회분(8월 배정 물량) + 196만 회분(7월 공급 연기 물량)
- 백신별 세부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되는 대로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 안내할 예정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8.2.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
계 |
상반기 |
7월 |
8월 |
9월 |
4분기 |
|||
계 |
1억 9,300만 |
2,770만 |
1,862만 |
908만 |
약 2,860만 |
약 4,200만 |
약 9천만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126.7만 |
126.7만 |
- |
83.5만 |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1,000.2만 |
881.4만 |
118.8만 |
약 1,730만 (8.3, AZ 118.2만) |
|
||
화이자 |
6,600만 |
1,375.6만 |
700.2만 |
675.3만 |
|
|||
모더나 |
4,000만 |
115.2만 |
11.2만 |
104.0만 |
1,046만 |
|
||
얀센 |
700만 |
111.4만 |
101.3만 |
10.1만 |
(협의중) |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4. 이상반응, 피해조사 주간 보고 (22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2주차, 8.1.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25,460,280건 중 이상반응은 117,348건(22주 신규 신고건수 3,733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6%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누적 예방접종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 그림 붙임 참조]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1%(111,558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9%(5,790건)이었으며, 백신별 신고율은 화이자 백신 0.25%, 얀센 0.67%,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67%, 모더나 0.23%이었다.
○ 2차 접종이 교차접종(1차 접종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 화이자 백신)인 경우 이상반응 신고율은 0.28%(2,622건)로, 1·2차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자의 신고율(0.22%)보다 높고, 1·2차 모두 화이자 접종자의 신고율(0.31%)보다 낮았다.
< 2차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단위: 건) >
1차-2차 접종백신* |
예방접종 |
전체 이상반응a (신고율, %) |
일반 이상반응b |
중대한 이상반응c |
||||
소계 |
사망① |
아나필락시스 의심② |
주요 이상반응③ |
|||||
소계 |
5,977,683 |
17,449 |
(0.29) |
16,476 |
973 |
128 |
58 |
787 |
AZ-AZ |
1,105,026 |
2,426 |
(0.22) |
2,279 |
147 |
11 |
18 |
118 |
PF-PF |
3,948,089 |
12,401 |
(0.31) |
11,622 |
779 |
114 |
31 |
634 |
AZ-PF |
924,568 |
2,622 |
(0.28) |
2,575 |
47 |
3 |
9 |
35 |
* (AZ-AZ) 1차 및 2차 접종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접종, (PF-PF) 1차 및 2차 접종 모두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 (AZ-PF) 1차 접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은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교차접종)
a.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의료기관에서 신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하였으며, 백신과 이상반응 간 인과성을 제시하는 것은 아님. 신고 현황 분류는 새로운 정보 추가시 변경 될 수 있음
b. 일반 이상반응은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발적, 통증, 부기,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등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을 포함
c. 중대한 이상반응은 다음의 사례를 포함
① 사망, ② 아나필락시스 의심(아나필락시스양 반응 포함)
③ 주요 이상반응 : 특별관심 이상반응(Adverse Event Special Interest, AESI), 중환자실 입원, 생명위중, 영구장애/후유증 등
5.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사례판정 결과 분석 (7.25.~7.31.) |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평가현황 총괄(1차~24차) >
구 분 |
사망/중증1) |
아나필락시스2) (중증) |
||||||
누계 |
사망 |
중증 |
누계 |
24차 |
||||
누계 |
24차 |
누계 |
24차 |
|||||
계 |
1,070 |
464 |
413) |
606 |
55 |
431(14) |
33(0) |
|
평 가 결과 |
인과성 인정 |
7 |
2 |
0 |
5 |
0 |
146(11) |
12(0) |
명확히 인과성 없거나 인정되기 어려움 |
1,054 |
453 |
40 |
601 |
55 |
285(3) |
21(0) |
|
판정 보류 |
9 |
9 |
1 |
0 |
0 |
0(0) |
0(0) |
1)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을 기준으로 분류함.
2) 일반 및 중대한 이상반응 포함
3) 사망 재평가 사례 5건 포함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예방접종 후 발생한 사망, 중증 및 아나필락시스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 평가 결과를 안내하였다.
○ 현재까지 총 24회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회의를 개최하여 사망 및 중증 사례 1,070건(사망 464건, 중증 606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431건을 평가하였고, 총 153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146건(신규 12건))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였다.
< 인과성 인정사례(누적) 현황 7건 >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 |
중증 |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2, 뇌정맥동혈전증 1,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 |
|
화이자 |
사망 |
심근염 1 |
중증 |
심낭염 1 |
□ 7월 30일(금) 제24차 피해조사반 회의에서는 신규 사망·중증 사례 91건(사망 36건, 중증 55건)과 재평가 사례 5건(사망 5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33건을 평가하였다.
○ 사망 및 중증 사례의 추정사인·진단명에 대한 기저질환과 예방접종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 95건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기가 어렵다고 평가하였고, 사망사례 1건은 최종부검결과를 확인 후 재평가하기로 결정하였다.
-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는 신규로 12건을 백신과의 인과성이 인정된다고 평가하였으며, 이 중 중증사례는 없었다.
○ 인과성 인정이 어렵다고 평가된 사례 중 모세혈관누출증후군으로 추정된 사망 1건, 혈소판감소증으로 추정된 중증 2건,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추정된 중증 1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의 근거가 불명확한 경우(Unlikely-indeterminate, 현재까지 총14명)로 평가하였다.
< 인과성 근거 불명확 사례(누적) 현황 14건 >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급성심근염 1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 3, 전신염증증후군 1, 폐색전증 1, 급성파종성뇌척수염 1, 염증성근육병증 1, 천식발작 1, 혈소판감소증 2(신규) |
|
얀센 |
사망 |
모세혈관누출증후군 1(신규)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 1(신규) |
|
화이자 |
중증 |
척수염 1 |
-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의 근거가 불명확한 경우로 평가된 사례에 대해서는 향후 인과성의 근거가 축적되는 시점에 재평가하기로 하였다.
○ 신규 사망사례 36건의 평균 연령은 74.8세(범위 47~90세)였고, 이 중 34명(94.4%)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받은 백신은 화이자 17명, 아스트라제네카 18명,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교차접종 1명이었다.
* 고혈압, 당뇨, 고지질혈증, 치매 등
- 신규 중증 사례 55건의 평균 연령은 71.3세(범위 27-88세)였고, 이 중 52명(94.5%)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11.2일(범위 18시간∼31일), 접종 받은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28명, 화이자 25명, 교차접종(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1명, 얀센 1명이었다.
- 추정 진단명의 상당수를 차지한 뇌졸중, 급성심근경색, 급성심장사, 폐렴 등은 백신접종 보다는 기저질환(고혈압, 당뇨 등) 및 고령에 의해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인과성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설명하였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중증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모든 백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 예방을 위해 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하
는 것이 중요하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심근염, 심낭염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건강상태를 관찰하고, 접종 후 일주일간은 격렬한 신체 활동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접종 후 ①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실신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 증후군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접종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①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 발생, 구토 동반, 시야 흐려짐 등의 증상 ②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및 팔다리 부기 ③접종부위 외 멍이나 출혈 증상 등 이 나타날 경우, 진료가 필요하며
- 길랑-바레 증후군은 접종후 ①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②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렵거나, 걷기 등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③손과 발의 저린 감각 및 팔다리, 몸통, 얼굴의 약화, ④방광조절 및 장기능 장애 등 의심증상이 생길 경우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6.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1주간(’21.7.25.∼8.1.)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506명으로 전주(일평균 1,465명) 대비 2.8% 증가하여, 지난주에 이어 전국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04로 전주(1.09) 대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1을 초과하였다.
* 전국 Rt : 1.24(7월1주) → 1.32(7월2주) → 1.09(7월3주) → 1.04(7월4주)
○ 수도권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를 4단계로 상향 조정하고, 방역 강화 대책을 이행함에 따라, 직전 1주간 일 평균 966.3명(전체 대비 66.0%)에서 최근 1주간 959.9명(전체 대비 63.7%)으로 감소하여 환자 급증 추세는 둔화되었다.
○ 비수도권은 직전 1주간 일평균 498.7명(전체 대비 34.0%)에서 최근 1주간 546.1명(전체 대비 36.3%)으로 증가하였고, 부산·경남·대전 등에서 환자가 다수 발생하였다.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63명(총 444명)으로 전주 대비 27.1%(87명→63명) 감소하였다.
○ 주간 위중증 환자 규모는 280명, 사망자는 27명으로 환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7월2주)159명→(7월3주) 213명→(7월4주) 280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7월2주) 17명 →(7월3주)13명 → (7월4주) 27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7월2주) 546개→(7월3주) 450개 → (7월4주) 360개
< 최근 한 달 간 주간 위험도 평가지표 >
구 분 |
7월 1주(7.4.~7.10.) |
7월 2주(7.11.~7.17.) |
7월 3주(7.18.~7.24.) |
7월 4주(7.25.~7.31.) |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992.4 |
1348.1 |
1465.0 |
1506.0(+2.8%) |
|
|
수도권 |
799.0 |
990.0 |
966.3 |
959.9(-0.7%) |
|
비수도권 |
193.4 |
358.1 |
498.7 |
546.1(+9.5%) |
||
해외유입 |
62.0 |
48.0 |
87.0 |
63.4 |
||
전 체 |
1054.4 |
1396.1 |
1552.0 |
1569.4 |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32.1 (2,229/6,947) |
30.5 (2,874/9,437) |
29.5 (3,028/10,255) |
30.2 (3,183/10,542)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34.0 |
37.8 |
39.7 |
39.2 |
|
감염재생산지수(Rt) |
1.24 |
1.32 |
1.09 |
1.04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73 |
105(▲11) |
76(▲45) |
30* |
||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명) |
147 |
159 |
213 |
280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13 |
17 |
13 |
27 |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588 |
546 |
450 |
360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발생현황(’20.11.29.~’21.7.31.) 그림 붙임 참조>
○ 최근 4주간 감염경로를 살펴보면, 가족·지인·직장 등 소규모 접촉감염의 증가로 ‘확진자 접촉’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집단발생’ 비중은 감소하였다(22.6%→14.1%).
* 확진자 접촉 비중 : (7월1주) 41.2%(3,043명) → (7월2주) 42.7%(4,175명) → (7월3주) 43.6%(4,734명) → (7월4주) 52.8%(5,796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 (’21.7.4.~7.31.)>
구 분 |
7월 1주 (7.4.~7.10.) |
7월 2주 (7.11.~7.17.) |
7월 3주 (7.18.~7.24.) |
7월 4주 (7.25.~7.31.) |
||||
전체 |
7,381명 |
(100%) |
9,773명 |
(100%) |
10,864명 |
(100%) |
10,986명 |
(100%) |
확진자 접촉 |
3,043명 |
(41.2%) |
4,175명 |
(42.7%) |
4,734명 |
(43.6%) |
5,796명 |
(52.8%) |
지역 집단발생 |
1,612명 |
(21.8%) |
2,320명 |
(23.7%) |
2,453명 |
(22.6%) |
1,549명 |
(14.1%)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55명 |
(0.7%) |
65명 |
(0.7%) |
36명 |
(0.3%) |
10명 |
(0.1%) |
해외유입 |
434명 |
(5.9%) |
336명 |
(3.4%) |
609명 |
(5.6%) |
444명 |
(4.0%) |
해외유입 관련 |
8명 |
(0.1%) |
3명 |
(0.0%) |
4명 |
(0.0%) |
4명 |
(0.0%) |
조사중(미분류) |
2,229명 |
(30.2%) |
2,874명 |
(29.4%) |
3,028명 |
(27.9%) |
3,183명 |
(29.0%)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1,913명 |
(34.2%) |
2,377명 |
(34.3%) |
2,220명 |
(32.8%) |
2,170명 |
(32.3%) |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감염 발생상황을 보면, 주점 등 유흥시설, 어린이집·유치원 등 교육시설, 사업장, 병원 관련 발생은 지속되고 있으며 실내체육시설, 백화점에서 신규로 집단감염이 발생하였다.
- 주요 전파요인은 증상발현 이후 다수 시설 이용, 공용시설·공간 동시 이용, 밀폐·밀접 환경에서 장시간 체류, 환기 불충분 등 이었다.
*신규 집단감염(30건): 다중이용시설(유흥시설·실내체육시설·백화점 등) 11건, 사업장(직장 등) 10건, 가족·지인모임 5건, 교육시설(학교·학원 등) 2건, 의료기관 1건, 종교시설 1건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전주 대비 2.9명으로 증가(2.8명 → 2.9명)하였으며, 특히 10대 연령층에서 4주 연속으로 증가하였으며, 20∼50대는 여전히 높은 발생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60대 이상도 소폭 증가하였다.
< 전국(국내발생)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7.31일 기준, 단위: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명))>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7월 1주 (7.4.~7.10.) |
환자수 |
6,947 |
297 |
705 |
1,726 |
1,180 |
1,291 |
1,201 |
383 |
104 |
60 |
일평균발생률 |
1.9 |
1.1 |
2.1 |
3.6 |
2.5 |
2.2 |
2.0 |
0.8 |
0.4 |
0.4 |
|
7월 2주 (7.11.~7.17.) |
환자수 |
9,437 |
527 |
931 |
2,376 |
1,654 |
1,656 |
1,572 |
533 |
134 |
54 |
일평균발생률 |
2.6 |
1.9 |
2.8 |
5.0 |
3.4 |
2.9 |
2.6 |
1.1 |
0.5 |
0.4 |
|
7월 3주 (7.18.~7.24.) |
환자수 |
10,255 |
742 |
1,092 |
2,328 |
1,642 |
1,779 |
1,745 |
657 |
201 |
69 |
일평균발생률 |
2.8 |
2.7 |
3.3 |
4.9 |
3.4 |
3.1 |
2.9 |
1.4 |
0.8 |
0.5 |
|
7월 4주 (7.25.~7.31.) |
환자수 |
10,542 |
695 |
1,234 |
2,275 |
1,660 |
1,829 |
1,742 |
787 |
231 |
89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7 |
4.8 |
3.5 |
3.1 |
2.9 |
1.7 |
0.9 |
0.6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x 100,000(명)
○ 한편, 최근 비수도권 발생 증가세에 따라, 비수도권의 발생 특성을 살펴보면,
- 연령대별 발생률을 기준으로, 최근 2주간 모든 권역에서 20세∼39세 젊은 연령층 환자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감염경로의 경우 집단발생을 통해 감염된 환자의 비중이 수도권보다 높았다.
- 권역별로는 충청권은 제조업 관련 사업장, 호남권은 지인 모임 및 다중이용시설, 경북권은 유흥주점, 노래방, 헬스장, 경남권은 목욕탕, 유흥주점, 강원·제주는 타 지역 관광객 유입 및 해외 입국 계절근로자를 통한 집단발생이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년 5∼6월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에 대해 백신 접종에 따른 분석 결과를 설명하였다.
○ ’21년 5월∼6월 확진자 총 34,954명(확진 후 28일 관찰기간 경과자) 중 미접종자는 33,797명(96.7%), 1차 접종완료자는 1,058명(3.0%), 2차 접종완료자는 99명(0.3%)이었다.
- 위중증 및 사망자 중 93.5%(728명/779명)가 백신 미접종자로, 60세 미만에서는 99.2%(256명/258명), 60세 이상에서는 90.6%(472명/521명)이 백신 미접종자였다.
○ 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위중증 및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 국민들께 8월에 시행되는 60∼74세 사전예약을 통해 예방접종을 받아주시고, 60세 이상 고령층 중 미접종자 및 50대 미만 청장년층도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에 참여해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에도 불구하고, 휴가철 이동량 증가, 유흥시설·다중이용시설 이용이 증가하면서, 금주 국내발생 일평균 확진자가 발생 이후 처음으로 주간 일평균 1,500명을 넘는 등 4차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 이에, 정부는 ▲유행지역 거리두기 격상(대전시, 경남 김해시, 강원 양양군 4단계), ▲지역별 고위험집단·고위험 시설 이용제한 및 집합금지, 종사사 선제·주기검사 강화, ▲주요 관광지·해수욕장의 방역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 다만, 지금의 4차 유행 상황을 감소세로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의 참여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면서, 거리두기와 함께,
- ▲지역 간 이동, 모임, 외출 등 최대한 자제하기, ▲불요불급한 약속과 집단행사 취소하기, ▲마스크 착용 및 손씻기, ▲조금이라도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검사받기 등 방역수칙 준수를 거듭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주간 분석결과(22주차)
5.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사례평가 결과
6. mRNA 백신 2차접종일 예약 관련 Q&A
7.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8.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9.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0.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1.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2.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3.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4.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5.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