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중환자실 진료환경 및 의료서비스 질 개선되었다!
정책
0
27
0
2020.12.15 12:00
중환자실 진료환경 및 의료서비스 질 개선되었다!
- 3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결과, 1등급 기관 증가, 평가지표 7개 중 6개 평가지표 개선 등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중환자실의 균형적이고 지속적인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3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심사평가원 누리집*을 통해 12월 16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병원⋅약국>병원평가정보>평가항목>중환자실
○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는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14년 처음 실시한 후 2017년부터 격년으로 실시하고 있다.
* 종합병원은 100병상 이상을 보유하고 의료법에서 정하는 7~9개 진료과목을 갖추고 있는 병원이고, 상급종합병원은 종합병원 중 중증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곳을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다.
< 3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주요내용> - [대상기간] ’19년 5월∼7월(중환자실 입원 진료분) - [대상기관] 287기관(상급종합병원 42기관, 종합병원 245기관) ※ 청구건수가 작은(10건 미만) 청구기관 제외 - [대상환자] 만 18세이상 중환자실 입원환자 ※ 신생아·소아 중환자실 입원환자, 화상환자, 중환자실 입실기간 48시간 미만인 환자 제외 - [평가결과] 종합점수 평균 73.2점, 2차 평가 69.2점 대비 4.0점 상승 · 상급종합병원: 98점(1.3점 상승), 종합병원: 68.9점(4.7점 상승) · 등급별 기관
|
□ 3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결과, 2차 평가 대비 종합점수 4점 상승(69.2점→73.2점)하였고, 1등급 기관 수는 17개 기관 증가(64기관→81기관)한 반면 5등급 기관 수는 6개 기관 감소(19기관→13기관) 하는 등 전반적으로 중환자실의 의료서비스 질이 향상되었다.
○ 7개 평가지표 중 6개 평가지표가 향상되었고, 1개 평가지표(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는 약간 하락하였다.
○ 상급종합병원의 종합점수는 2차 대비 1.3점 상승한 98점으로 높은 질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종합병원은 68.9점으로 2차 대비 4.7점 상승하였으나 의료서비스 질 향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3차 평가 종합점수》
(단위: 점) |
|||
구분 |
3차 |
2차 |
증감 |
전체 |
73.2 |
69.2 |
4.0↑ |
상급종합 |
98.0 |
96.7 |
1.3↑ |
종합병원 |
68.9 |
64.2 |
4.7↑ |
《등급별 기관수 현황》
(단위 : 기관) |
||||||
구분 |
전체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3차 |
287 |
81 |
51 |
89 |
53 |
13 |
2차 |
280 |
64 |
47 |
89 |
61 |
19 |
증감 |
7↑ |
17↑ |
4↑ |
- |
8↓ |
6↓ |
□ 3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의 세부 평가지표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 중환자실 전담전문의는 중환자실에 상주하면서 상시 연락이 가능하고,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방법 등을 결정하는 전문의로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가 작을수록 좋은 지표이다.
○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는 22.2병상으로 2차 평가(24.7병상) 대비 2.5병상 감소하여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다.
- 상급종합병원은 평균 17.3병상으로 2차 평가(19.9병상) 대비 2.6병상 감소하였고, 종합병원은 평균 24.5병상으로 2차 평가(27.6병상) 대비 3.1병상 감소하였다.
○ 참고로, 모든 상급종합병원은 중환자실 전담전문의가 배치되어 있는 반면, 종합병원은 245기관 중 92기관(37.6%)에서 중환자실 전담전문의가 배치되었고, 2차 평가(70개 기관) 대비 22기관 증가하였다.
《전담전문의 운영 현황》
(단위: 기관, %)
|
②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 중환자실 내 간호사가 돌보는 환자 수가 적을수록 중환자실 진료수준이 올라가므로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는 낮을수록 좋다.
○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의 평균은 1.03병상으로 2차 평가(1.01병상) 대비 0.02병상 증가하였다.
- 상급종합병원은 평균 0.50병상으로 2차 평가(0.55병상) 대비 0.05병상 감소한 반면, 종합병원은 평균 1.12병상으로 2차 평가(1.10병상) 대비 0.02병상 증가하였다.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단위: 병상) |
|||
구분 |
2차 |
3차 |
증감 |
전체 |
1.01 |
1.03 |
0.02↑ |
상급종합 |
0.55 |
0.50 |
0.05↓ |
종합병원 |
1.10 |
1.12 |
0.02↑ |
③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6종> ① 동맥혈가스분석기 ② 이동식인공호흡기 ③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기기 ④ 기관지내시경 ⑤ 중환자실 전담전문의를 위한 독립공간 ⑥ 격리실 |
○ 환자가 호흡부전이나 쇼크, 다장기 부전증 등에 빠졌을 때 환자의 회복을 돕기 위해서는 전문장비 및 시설을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은 2차 평가(4.0개) 대비 소폭 증가하여 평균 4.2개를 구비하고 있었다.
- 모든 상급종합병원은 100% 갖추고 있었고, 종합병원에서 6개 모두 구비하고 있는 기관은 67개 기관(27.4%)으로 2차 평가(49개 기관) 대비 18기관 증가하였다.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단위: 개, 기관, %, %p) |
||||||
구분 |
평균 |
6개 구비 기관수 |
||||
2차 |
3차 |
증감 |
2차 |
3차 |
증감 |
|
전체 |
4.0(66.6%) |
4.2(70%) |
0.2(3.4%)↑ |
92(32.6%) |
109(38%) |
17(5.4%)↑ |
상급종합 |
6.0(100%) |
6.0(100%) |
- |
43(100%) |
42(100%) |
- |
종합병원 |
3.7(61.6%) |
3.9(65%) |
0.2(3.4%)↑ |
49(20.5%) |
67(27.4%) |
18(6.9%)↑ |
④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9종 > ① 입실 ② 퇴실 ③ 인공호흡기 이탈(weaning) ④ 진정, 진통, 섬망 ⑤심부정맥 혈전 예방 ⑥ 스트레스 궤양 예방 ⑦ 기계환기 ⑧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⑨ 중심도관 삽입 시 최대멸균 주의지침 |
○ 표준화된 진료지침과 프로토콜에 따라 진료하는 것이 중환자의 치료 및 예후를 좋게 하므로 진료 프로토콜을 갖추는 것은 중요하다.
○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9개 중 요양기관에 구비된 비율은 97.1%로 나타나 2차 평가(95.4%) 대비 1.7%p 상승 하였고, 대부분의 기관에서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급종합병원은 100% 구비하였고, 종합병원은 97%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단위: %, %p) |
|||
구분 |
2차 |
3차 |
증감 |
전체 |
95.4 |
97.1 |
1.7↑ |
상급종합 |
100 |
100 |
- |
종합병원 |
94.6 |
96.6 |
2.0↑ |
⑤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환자 비율
○ 인공호흡기 부착 환자는 하지정맥 혈류가 정체되어서 혈전 발생률이 높아져 심부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등 질병을 초래하므로 미리 예방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환자 비율은 92.4%로 2차 평가(88.6%) 대비 3.8%p 증가하였다.
- 상급종합병원은 99.9% 실시하고 있으며, 종합병원은 90.9%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
(단위: %, %p) |
|||
구분 |
2차 |
3차 |
증감 |
전체 |
88.6 |
92.4 |
3.8↑ |
상급종합 |
99.9 |
99.9 |
- |
종합병원 |
86.4 |
90.9 |
4.5↑ |
⑥ 표준화 사망률 평가 유무
○ 「표준화 사망률」이란 “실측된 실제 사망자 수와 중증도에 의해 계산된 예측 사망자 수의 비율”이다. 중환자실 내원 환자는 중증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질 수 있어 병원 스스로 중증도 평가를 통해 환자를 보다 적절하게 치료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지표이다.
○ 표준화 사망률 평가 시행 기관 비율은 78.7%로 2차 평가(72.0%) 대비 6.7%p 증가하였고, 기관 수는 226개 기관으로 2차 평가(203개 기관) 대비 23개 기관이 증가하였다.
- 상급종합병원은 모두 시행하고 있는 반면, 종합병원 75.1%(184기관)에서 실시하고 있었고, 2차 평가(66.9%, 160개 기관) 대비 8.2%p(24기관) 증가하였다.
《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단위: 기관, %, %p) |
|||
구분 |
2차 |
3차 |
증감 |
전체 |
203(72.0%) |
226(78.7%) |
6.7↑ |
상급종합 |
43(100%) |
42(100%) |
- |
종합병원 |
160(66.9%) |
184(75.1%) |
8.2↑ |
⑦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율
○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동으로 이동 후 48시간 이내에 다시 중환자실로 재입실하는 것은 이동 당시 부적절한 상태에서 조기 퇴실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환자실 재입실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 중환자실 입실 후 일반 병동으로 이동한 환자 중 48시간 이내에 중환자실로 재입실한 환자의 평균은 1.0%로 2차 평가(1.6%) 대비 0.6%p 감소하였다.
- 상급종합병원은 0.9%로 2차 평가(0.7%) 대비 0.2%p 증가하였는데, 이는 중환자 비율 증가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병원은 1.1%로 2차 평가(1.7%) 대비 0.6%p 감소하였다.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단위: %, %p) |
|||
구분 |
2차 |
3차 |
증감 |
전체 |
1.6 |
1.0 |
0.6↓ |
상급종합 |
0.7 |
0.9 |
0.2↑ |
종합병원 |
1.7 |
1.1 |
0.6↓ |
□ 보건복지부와 심사평가원은 이번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질 향상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 정영기 보험평가과장은 “중환자실 진료환경 및 의료서비스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편차가 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병원 중환자실의 질 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심사평가원 하구자 평가실장은 “이번 평가는 중환자실 3차 평가로, 그 동안 중환자실의 인력·시설 등 환경개선에 중점을 두고 평가를 수행하였다. 앞으로는 의료 현장에서 제기된 목소리를 반영하여 평가체계를 개선하고 중환자실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및 환자안전망 구축에 이바지 하겠다.”라고 전했다.
[붙임] 1. 2019년(3차)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결과
2. 중환자실(3차) 평가 1등급 요양기관 지역별 현황
3. 심사평가원 누리집 병원평가정보 이용방법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