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고선박 등 해양유산 적극 발굴·대형 수침 건조시스템 첫 가동 등 성과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 이하 연구소)는 올해 지속적인 발굴조사와 연구를 통해 해양문화유산 가치를 조명하고, 국민과 공유하기 위해 노력했다.
먼저, 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해수욕장 해역에서 ‘해남선(海南船)’ 수중발굴조사(6월~10월)를 실시하여 현재까지 조사된 한반도 제작 고선박 중 제일 큰 규모임을 확인했으며, 기와, 숫돌, 닻돌 등 총 15점의 유물도 발견했다. 방사성탄소연대분석 결과 고려시대(11세기 초반에서 12세기 중반)에 제작·운항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충남 태안군 마도(馬島) 해역에서 진행한 발굴조사(7월~10월)에서 11~12세기 유물로 추정되는 고려시대 선체 조각과 청자 접시 등 500여 점을 확인했다. 특히, 국내 수중발굴조사에서는 처음으로 안전한 항해를 기원하기 위한 용도로 추정되는 기러기형 나무 조각품을 발견해 관련 연구에 대한 기대를 모았다.
한편으로 약 15년간 태안선과 마도1호선의 탈염(2009~2011년)과 경화처리(2011~2023년 6월)를 마친 뒤 마지막 보존처리 단계인 조습건조 처리에도 본격 착수했다. 특히, 연구소가 2020년 12월 ‘대형 수침목재용 자동 온습도 조절 건조처리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구축한 뒤 2022년까지 기능 점검과 보완 작업을 거친 후 이번에 처음으로 가동하여 의미를 더했다.
* 탈염처리: 목재 내 침투된 염분을 제거하는 보존처리
* 경화처리: 목재 내 수분은 건조 시 뒤틀림이나 갈라짐의 원인이 되는데, 이를 약품으로 치환하여 수침(물에 잠기거나 가라앉음)목재의 강도를 높이고 원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보존처리
또한, 조선시대 사신들을 태우고 일본을 오가던 조선통신사선을 재현하여, 쓰시마섬에서 개최된 이즈하라항 축제(8.5.~8.6.)에 참가해 한일 양국의 문화교류 확대에 기여하였으며, 해양문화유산으로서 조선통신사선의 뛰어난 가치를 널리 알리기도 하였다.
연구소는 이와 같은 성과를 기반으로, 2024년에 수중발굴 기반(인프라)을 더 확충하여 2026년 한국수중고고학 50년을 향한 힘찬 발걸음을 시작한다.
우선 수중탐사와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한 친환경 전문 탐사선을 새로 제작하기 위한 본격적인 설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그리고 40여 년간 축적해 온 수중고고학 경험과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수중고고학 개론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이 개론서는 해양문화유산에 입문하는 학생과 일반인들에게 수중고고학 세계의 기초적인 이론과 실무의 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외에도 인구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한 섬지역 문화유산과 생활을 기록화하는 ‘섬문화조사’를 이어가며, 우리 전통선박 연구와 복원 사업(프로젝트)의 하나로 거북선 복원연구를 계속한다. 이밖에 조선통신사선을 활용한 선상박물관 운영, 해양문화유산 그리기 대회 등을 통해 해양문화유산 연구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여 미래가치 창출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1976년 신안 해저 유물 발굴로 시작된 한국수중고고학 50주년을 대비하여 앞으로도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수중 탐사와 연구를 통해 해양유산을 총괄하는 정책연구기관으로 거듭나고, 우리나라가 해양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 해남선 조사 모습 >
[자료제공 :(www.korea.kr)]